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나목'을 읽고.
    책/한국문학 2018. 3. 12. 11:17

    오래간만에 글이다. 박완서의 글은 이전에도 읽었던 적이 있었는데, 나목같은 중편에 가까운 소설은 처음이었다. 게다가 이 소설은 늘 마음에 두던 소설이었는데, 지난번에는, 그러니까 16년도에 한참 책을 읽는 동안에는 읽지 못했었다. 그때는 이상하게도 초반부에서 재미가 없었다. 그 당시에는 나목에 대해서 정확히 아는 것도 적었고, 그냥 막연하게 '읽어야지 읽어야지'했던 느낌만 갖고 있어서 그랬나 싶기도 하다. 정확한 이유는 나도 모른다. 스키마 부족이 가장큰 이유일 수는 있겠지만. 그때 당시에 이 소설만 그랬던 건 아니었다. 비슷한 경우로 '외딴방'역시 처음에는 펼쳤음에도 못읽엇으나, 작년에는 펼치고 나서 쭉 읽어냈던 것을 보면 집중력 문제일 수도 있고, 나의 문식성이 향상된 결과라고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어찌되었든 이번에는 조금 달랐다. 이상하게 공감가는 서술자의 관점이 나를 이끌었다. 20대 여자 '이경'의 이야기가 묘한 부분에서 나를 이 책에 빠져들게 만들었다.

    - 소설의 구성

    '나목'은 여러장으로 이루어져 있는 작품이다. 주인공이 1명이니까 이 1명의 이야기로 처음부터 끝까지 소설이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주인공인 '이경'은 소설 내에서 1인칭 주인공이었다가, 어떤 이야기에서는 1인칭 관찰자가 되었다가 한다. 아마 주인공이니 관찰자니 이런 구분들은 우리가 연구상, 소설의 시점상 분류를 편하게 하기 위해서 만들어놓은 구분일테니까, 항상 들어맞는게 아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어찌되었든 이 소설은 '이경'의 이야기이고, 어느 한 구석에는 이경의 어머니 이야기도 있고, 어느 한 편에는 이경의 친척들 이야기 그리고 옥희도씨의 이야기가 들어가 있다. 장별로 나뉘어있기 때문에 삽화식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천변풍경의 삽화식처럼 다양한 주인공들이 각자의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게 아니라, 한 명의 주인공이 다양한 경험들을 녹여내는 것에 가깝기 때문인지 느낌은 색다르다. 총 17장의 이야기에서 주인공은 내내 방황하고 고민하며 이리저리 비틀비틀 거리고, 누구에게나 혼자만의 길이 있음을 알려준다. 그러니까 사랑하는 사람도 같이 걸을 수 없고 오로지 스스로가 견뎌내야만 하는 고독을 견디는 게 주인공이다.

    '이경'은 아버지를 잃었지만 어머니는 살아계시는, 그리고 오빠를 잃은 6.25의 참상을 경험하고 있는 여주인공에 속한다. 이 여주인공의 특성을 몇가지 서술하라면, 늘 고독하고, 어머니로부터 사랑받지 못하며, 오빠의 죽음에 대해 죄책감을 느낀다. 당시 사회는 남성을 더 중시했었던 분위기였으며, 통상적으로 '엄마'는 '아들'에게, '아빠'는 '딸'에게 관심을 갖는 한국의 근현대 가족구조에서, 살아남은 어머니의 '아들에 대한 그리움'을 받아내는 '딸'로서 소설에 등장한다. 이런 이경은 오빠의 부재와 아버지의 부재를 채우기 위해서 '옥희도'씨를 만나고, 옥희도씨를 통해서 성장하고 방황하였다가, 옥희도씨와 헤어지고 성숙해 가는 과정이 소설에 나타나있다.

    소설에서 가장 핵심인 대화는 이 부분이다.

    <경아. 경아는 나로부터 놓여나야 돼. 경아는 나를 사랑한 게 아냐. 나를 통해 아버지와 오빠를 환상하고 있던 것 뿐이야. 이제 그 환상으로부터 자유로워져봐 응? 용감히 혼자가 되는 거야. 용감한 고아가 돼 봐. 경아라면 할 수 있어. 자기가 혼자라는 사실을 두려움 없이 받아들여. 떳떳하고 용감한 고아로서 모든 것을 다시 시작해 봐. 사랑도 꿈도 다시 시작해 봐>

    옥희도씨를 통해서 세계에 제대로 서지 않으려 했던 이경의 모습이 나타난다는 것, 그리고 이 말 이후에 자신의 세계에 흠집을 내는 태수를 통해서 세속적인 세계로 화합해 나간다는 것, 그렇지만 여전히 옥희도씨에 대한 갈망이 온전하게 해소된 건 아니었다는 걸 후일에 옥희도씨의 유작전을 통해서 확인한다는 것이 나타나는 대목이다. 나목의 그림에 '자신'을 채워넣으려했던 '이경'의 성장서사는 옥희도씨와 이경 자신의 갈망을 분리함으로서 종결되는 소설인 것이다.

    내가 이 소설에 공감하게 되는 가장 큰 이유는, 주인공의 홀로서기에 있을 것이다. 나 역시 누군가를 통해서 내 안에 있는 어떠한 부재를 해결하고 싶어한다. 하지만 그러한 부재는 누군가에게 기대어서 해결되는 것이 아니며, 내 스스로가 주체로 설 때 해소된다. 그 해소가 완벽하지는 않더라도 말이다. 결국은 누군가에게도 기댈 수 없으며 혼자서 나아가야 한다는 인생의 고독함을 이 소설은 알려주고 있었다.


    참고 문헌

    나병철(2003), 여성 성장소설과 아버지의 부재, 한국여성문학학회. 여성문학연구 제10권, p183~214

Designed by Tistory.